2025 유연근무 장려금, 이거 안 받으면 손해쥬?! 💸
올해도 돌아온 꿀팁! 유연근무하면 돈도 받고 삶의 질도 UP⤴
회사 다니면서 시간에 쫓기고, 출퇴근에 지치고... 이게 진짜 삶인가 싶을 때 있쥬?
근데 2025년 지금, 회사도 직원도 좀 더 유연하게 일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는 거, 알고 계셨나요?
그게 바로 고용노동부에서 지원하는 ‘유연근무 장려금’ 제도임다~
이거 몰라서 못 받으면 진짜 억울한 거거든요...ㅠㅠ 특히 육아하는 분들한테는 더더욱!!
솔직히 말해봅시다.
요즘 회사에서 유연근무제 얘기하면 대부분 이렇게 생각함다.
“직원이 안 보이면 일 안 할까봐 걱정돼요...”
“성과 측정이 어렵지 않을까요?”
“지원금은 좋은데 절차가 넘 복잡해요 ㅠㅠ”
근데 말이죠! 이 모든 고민, 실제로 해결 가능한 부분이라는 거~~
고용24라는 플랫폼에서 신청도 쏘 스무스하게 할 수 있구요.
필자도 직접 신청해서, 실사용까지 한 후기까지 들려드릴 테니 끝까지 집중해보셔유 😎
오늘 포스팅에서는
✔️ 유연근무 장려금이 뭔지
✔️ 어떤 식으로 신청하는지
✔️ 실제 신청 후기 & 꿀팁
까지 아주 찐하게 알려드릴게요!
아무리 좋은 제도도... 모르면 못 쓰는 거 아시쥬?
이 글 보시고 2025년엔 좀 더 편하게, 더 잘 살아보자구요~~
유연근무 장려금, 누가 받을 수 있을까? 🤔
우선 이 제도는 회사가 직원들에게 유연근무제를 도입할 때 지원해주는 겁니다!
즉, 프리랜서나 자영업자 분들은 대상이 아니구요.
정확히는 ‘우선지원 대상기업’이나 중소기업 쪽이 혜택을 받기 쉬워요.
직원 1인당 월 최대 30만원, 최대 12개월간 총 360만원까지 지원되구요~
여기서 끝이 아닙니다! 육아기 자녀(만 8세 이하)를 둔 근로자는
지원금이 무려 두 배!! 💸 진짜 이건 꿀 아니고 꿀벌이 날아올 수준이쥬 ㅎㅎ
신청한다고 다 주는 건 아니쥬~ 준비는 철저히!
자, 이제부터 중요한 포인트📌
“오 좋아! 신청 고고!” 하기 전에 몇 가지 조건과 준비물이 필요합니다.
먼저 회사 내부적으로 유연근무제 도입 합의서를 만들어야 해요.
직원과 ‘진짜 유연하게 일하겠다’는 내용이 포함된 합의서가 있어야 하고요~
기존 근로계약서랑 변경된 유연근무 근로계약서도 제출해야 함다.
이게 왜 중요하냐면, 정부에서 진짜 유연근무제 실행할 의지가 있는지 확인하려고 보는 거쥬!
그리고 신청 전에 ‘고용24’에서 사전진단까지 받을 수 있으니까 겁내지 마시길 🙌
유연근무 유형? 뭐가 있냐면요~ 😎
유연근무제라고 해서 다 똑같은 건 아니쥬?
크게는 재택근무, 시차출퇴근제, 선택근무제, 압축근무제 등이 있슴다~
예를 들어 시차출퇴근제는 오전 10시에 출근하고 오후 7시에 퇴근하는 식!
아이 어린이집 보내고 출근해야 하는 분들께 넘나 좋은 제도쥬 ㅎㅎ
선택근무제는 하루 8시간이 아니라, 하루 6시간하고 내일은 10시간 일하는 식으로 조정 가능해요.
즉, 회사 상황에 맞춰 딱 맞는 제도 고를 수 있다는 거!
정부가 유연근무 장려금을 주는 이유도 이런 다양성 있는 근무형태를 확산시키려는 거쥬~
고용24로 신청하기, 생각보다 쉬움!
이제 실제 신청 방법 알려드림다!
먼저 ‘고용24’ 홈페이지(https://www.ei.go.kr/)에 들어가서
기업회원으로 로그인 → ‘기업지원금’ 클릭 → ‘유연근무’ 선택 →
‘일·가정 양립 환경개선(유연근무 장려금)’ 고르면 OK!
진행 단계도 5단계로 깔끔하게 나뉘어 있어요.
① 사전진단
② 사업장/담당자 정보
③ 유연근무 유형 및 필요성 작성
④ 근무형태·시간·참여 인원 등 세부입력
⑤ 첨부서류 제출
여기까지 마치면 1차 신청 끝! 🎉
서류 누락이나 오류만 없으면 진짜 빠르게 처리됩니다~
필자의 신청 후기 대방출! 📆
제가 있는 노무법인에서도 이거 직접 신청했었어요~
2025년 1월 14일에 신청했고, 22일에 고용센터에서 보완 요청 받았슴미다.
그래서 24일에 서류 보완해서 넣었고, 31일에 최종 승인!
처리 기간? 시스템상 13일이라고 떠 있었는데요~ 실제로는 8일만에 끝났쥬 ㅎㅎ
요 때 요구받은 서류는 유연근무 합의서, 기존 계약서, 변경 계약서였고요.
정말 중요한 건 서류를 ‘정확하게’, ‘빠르게’ 제출하는 거예요!
그리고 고용센터에서 전화도 오는데, 너무 겁먹지 마세요 ㅋㅋ 그냥 확인용입니다~
신청 끝? 그럼 지원금은 언제 들어오쥬? 💵
유연근무제 도입하고 나면 3개월 단위로 지원금 신청 가능!
예를 들어 2월부터 시작했다면 4월 말쯤 신청 들어가면 됨다~
신청도 ‘고용24’ 통해서 계속 진행 가능하고요.
중요한 포인트 하나! 육아기 자녀가 있는 직원은 추가 서류(등본 등) 꼭 챙겨두셔야 해요!
이 부분에서 누락되면 처리 지연되거나 탈락될 수 있거든요ㅠ
그래서 미리미리 준비하셔야 진정한 승리자가 될 수 있다는 점~
한 번 도입해보면 직원 만족도도 올라가고, 회사 분위기도 확 바뀌는 거 실화예요!
이런 거 궁금하셨쥬? 🔍
- 유연근무 장려금 신청하면 꼭 승인되나요?
👉 서류만 정확히 준비하고, 조건만 맞으면 대부분 승인됩니다!
다만 육아기 자녀 관련 지원은 증빙이 확실해야 더 빠르게 처리돼요~ - 꼭 모든 직원이 유연근무해야 하나요?
👉 아니에요~ 유연근무 도입한 직원만 신청 대상이고,
전체 인원이 아닌 일부만 운영해도 지원 가능하답니다! 부담 No~ - 신청하면 언제부터 근무 시작 가능한가요?
👉 승인 완료일 다음날부터 도입하면 깔끔!
예: 1월 31일 승인 → 2월 1일부터 유연근무 시작 OK~
제도는 그냥 제도가 아니쥬!
이게 진짜 실화임다.
유연근무제 도입하고 나서 직원들이 얼굴이 확 펴졌어요 ㅎㅎ
특히 애 키우는 직원들은 "인생이 달라졌다"는 말도 했쥬!
생산성 떨어질까봐 걱정했는데 오히려 더 집중하고 효율도 오르는 게 신기했슴다.
아직도 고민만 하고 계신다면, 작게라도 한 번 시작해보시는 걸 추천드려요.
그리고 정부가 이렇게까지 밀어주는 거면, 뭐... 한 번 해볼만 하쥬?! 😎
여러분 회사는 어떤가요?
혹시 지금 유연근무제 도입을 고민하고 계신가요?
아니면 이미 운영 중인데, 아직 장려금 신청 안 하셨다면?!
댓글로 여러분 회사의 상황이나, 궁금한 점 나눠주세용~
실제 경험자로서 도와드릴 수 있는 건 도와드릴게요!! ㅎㅎ
“우리 회사에도 진짜 될까?” 싶으면, 노무사 상담도 추천드려요.
신청 과정에서 삽질하는 시간 줄이는 데는 전문가만한 게 없쥬~
📌 관련 태그
유연근무 장려금
2025 정부지원제도
유연근무제 도입방법
고용노동부 고용24
회사 복지제도
직장인 워라밸
'사회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버거킹이 소방관 레시피로 만든 ‘불끈버거 맥시멈’, 이게 진짜 버거다 (0) | 2025.03.21 |
---|---|
렉라자 폐암 치료제, 생존율 1년 ↑ 국산 신약의 반란 (0) | 2025.03.21 |
자립준비청년 자립지원수당 신청 방법 (2025년 최신 정보) (0) | 2025.03.20 |
육아휴직 후 퇴사해도 지원금 받을 수 있다고?! (0) | 2025.03.19 |
교촌치킨 KING 클럽 보너스 2025년 3월 이벤트! 허니윙 공짜?! (0) | 2025.03.18 |